산업통상자원부는 14일 '제5차 소재·부품·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 회의'를 개최하고, '소재·부품·장비 경쟁력 강화 기본 계획' 등 네 개 안건을 심의·의결했습니다.
올해 4월 시행된 '소재·부품·장비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특별조치법'에 근거한 최초의 5년 단위 법정 계획입니다.
<'소재·부품·장비 경쟁력 강화 기본 계획' 주요 내용>
1. 글로벌 시장 선도 소재·부품·장비 강국 도약
1) 미래 시장 선도 소재·부품·장비 개발·생산 역량 확충
- 차세대 전략 기술 투자 확대
· 2022년까지 100대 소재·부품·장비 핵심 전략 기술 및 바이오, 시스템반도체, 미래차 등 Big3 산업에 5조 원 이상 집중 투자 등
- 디지털 소재 개발·엔지니어링 등 제조 소프트파워 강화
· 소재 혁신 AI 플랫폼 구축 및 시범 서비스 등
- 기술-생산 연계 지원 기반 확충
· 향후 5년 간 수요-공급기업 협력 모델 100개 이상 발굴 등
- 핵심 장비 내재화 통한 국산화 및 고도화 추진
· 50개 핵심 장비·장비 부품 적시 개발 추진 등
2) 글로벌 공급망 참여 확대
- 소재·부품·장비 으뜸기업·강소기업·스타트업 각각 100개 육성
- 글로벌 기술 협력 강화
· 해외 수요-국내 공급기업 간 공동 R&D 등 글로벌 협력 모델 추진 등
- 신남방·신북방 등 공급망 다변화
· 필리핀, 캄보디아, 인도, 러시아, 우즈벡, 몽골 등 신남방·신북방 국가 FTA 통한 다변화 확대 등
3) 공급망 안정성 강화
- 공급망 디지털화 확대
- 안정적 물류 공급망 구축
· 밀크런 방식 공동 물류 시스템, 희소금속 비축 글로벌 연대 구축 등
2. 첨단 산업 투자 유치 및 유턴 통한 세계적 클러스터화
1) 세계적 첨단 산업 클러스터 조성
- 소재·부품·장비 특화단지, 첨단투자지구 지정 등
2) 첨단 R&D 등 지식 기능 온-쇼어링 강화
- 대학 첨단 R&센터 유치, 투자 기업 인력 수요 투자 유치 단계 평가 및 전문인력 양성 등
3) 맞춤형 투자 유치 인센티브 제공
- 첨단 투자 분야 신성장·원천기술 세액 공제 대폭 강화 등
4) 투자 협력 위한 컨센서스 플랫폼 가동
- 정부-산업, 산업-산업, 산업 내 기업-기업 간 컨센서스 플랫폼 가동 등
3. 범부처·민·관 총력 지원 체계 지속 가동
- 글로벌 공급망 재편 대응 위한 경쟁력강화위원회 및 수급대응지원센터 대상, 조직, 기능 강화 등
자세한 내용은 첨부 자료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.